티스토리 뷰

컴퓨터

컴퓨터 사양보기

아이언 베어 2023. 11. 10. 04:36

컴퓨터 사양 : CPU, 그래픽, 램, SSD, HDD

 

 

*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nIe7w0GI4Fk

 

1.

CPU

중앙처리장치

Central Processing Unit

 

제조공정 : CPU 내부 회로의 굵기, 22nm, 14nm 등 나노미터(nm) 단위로 표시

굵기가 얇을수록 전자가 옆 회로로 이동하는 거리가 짧아지고, 필요 전압이 줄어들며, 전력 소모와 CPU의 발열량도 감소.

 

클럭(clock, 동작주파수) : CPU의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 클럭은 1초 동안 파장이 한 번 움직이는 시간을 의미.

코어

스레드

캐시메모리

가상화지원

 

Intel Core i5 9400

 

 

2.

그래픽카드

Graphics Card, Video Graphics Array, VGA

그래픽 카드(Graphics Card)는 CPU의 명령하에 이루어지는 그래픽 작업을 전문적으로 빠르게 처리하고 디지털 신호를 영상 신호로 바꿔 모니터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3. 

Random Access Memory

사용자가 자유롭게 내용을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는 기억장치. 컴퓨터가 켜지는 순간부터 CPU는 연산을 하고 동작에 필요한 모든 내용이 전원이 유지되는 내내 이 기억장치에 저장된다.[2] '주기억장치'로 분류되며 보통 램이 많으면 한번에 많은 일을 할 수 있기에 '책상'에 비유되곤 한다. 책상이 넓으면 그 위에 여러가지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고, 이후 그 물품을 다시 회수하면 그 물품이 있었다는 기록은 사라지기 때문이다

 

4.

SS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state drive)는 기계적 구동부위가 없는 반도체(solid-state, 진공을 대체한 고체 소자)를 사용하는 드라이브이다. NAND 플래시 메모리와 고성능 컨트롤러를 탑재하여 C 드라이브  HDD의 지위를 대체하고 있는 보조 기억 장치이다. Microsoft Windows에서는 반도체 드라이브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5.

Hard Disk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하드 디스크(Hard Disk), 하드 드라이브(Hard Drive), 하드, 고정 디스크(Fixed Disk)는 비휘발성, 순차접근이 가능한 컴퓨터의 보조 기억장치이다.

원래 이름은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Drive, MDD)였는데, 나중에 마찬가지로 자기를 이용하는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Drive, FDD)가 나오면서 구분을 위해 딱딱한 디스크라는 뜻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로 바꿨다. 플로피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삽입하는 기록 매체인 디스켓이 팔랑팔랑하다는 의미. 요새는 FDD가 거의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에 대립되는 명칭으로 받아들여진다.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소 가운데 가장 대중적이고 용량 대비 가격이 가장 저렴하다. 다만 LTO6 이상의 자기테이프는 단품 가격이 HDD보다 싸지만 전용 드라이브 가격이 매우 비싸, RAID로도 감당이 안 되는 구글이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하는 대형 서버 기업들 정도만 구매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자기테이프 문서 참고